여순사건특별법 정신 바탕으로 역사 왜곡 없는 교육환경 조성 주력
수업자료 개발 및 보급 ‧ 헌법센터 설립 “올바른 역사 인식 확립”
전라남도교육청은 여순사건특별법(여수·순천 10·19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의 제정 취지에 따라, 지역의 아픈 역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인권과 평화의 가치를 배우는 교육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여순사건특별법은 국가 폭력으로 희생된 이들의 진상을 규명하고 명예를 회복하며, 화해와 인권의 가치를 되새기기 위해 제정됐다. 전남교육청은 이 정신을 바탕으로 여순사건을 비롯한 지역 현대사 교육을 특정 이념의 시각이 아닌 인권·평화·민주주의의 관점에서 지도하고 있다.
특히, 전남교육청은 그동안 ▲ 항일운동과 민주화운동 ▲ 여순10·19사건 ▲ 독립운동사 ▲ 전남의 의(義)로운 인물 등 지역의 주요 사건과 인물을 다룬 자료를 지속적으로 발간해 학교 현장에 보급했다. 이 자료들은 교사들이 지역의 역사를 정확히 가르치고, 학생들이 사실에 기반한 역사 인식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전남교육청은 2026년을 목표로 지역 현대사 교육을 더욱 내실화하고, 인권·평화·민주주의 중심의 수업과 체험활동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과 협력해 상호 교류 연수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과 협력해 오는 12월에 ‘제주4‧3과 함께하는 여순10‧19 평화‧인권 역사유적 탐방’을 공동 추진한다. 이 탐방은 지역 간 연대를 통해 평화와 인권의 교육적 가치를 공유하고, 현장 중심의 역사교육 모델을 확산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지역사 기반의 평화·인권 교육이 한반도를 넘어 아시아 청소년과 함께 배우는 세계시민교육으로 확장하고자 ‘아시아 의(義) 청소년 헌법센터’ 설립도 추진 중이다.
이 센터는 민주주의와 인권, 법치, 평화의 가치를 공유하는 교육 교류의 거점으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의 청소년들이 헌법정신과 인권 감수성을 함께 배우고 실천하는 공간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전남교육청은 헌법센터를 통해 ‘전남 의(義) 교육’의 가치와 철학을 국제적으로 확산하며, 아시아 청소년 간 연대와 협력의 교육적 플랫폼을 마련할 방침이다.
김대중 전라남도 교육감은 “역사는 사실에 근거한 정확한 교육이 이뤄져야 하고 왜곡이나 편향이 개입돼서는 안 된다”며 “진실과 화해의 정신을 담은 평화·인권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올바른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강용운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