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 지원·인권 교육·공동체 회복 프로그램 등 다각적 대응 체계 마련
광주광역시교육청은 최근 A초등학교 교장을 둘러싼 아동학대 및 인권침해 논란과 관련하여, 사실관계와 대응 경과를 명확히 밝히고자 해명자료를 발표했다. 교육청은 해당 사안에 대해 신속하고 책임 있는 자세로 대응하고 있으며, 학생·교사 등 교육 주체 모두의 신뢰 회복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을 진행 중이다.
① “사건 발생 후 2주째 침묵” 주장에 대한 입장
– 해당 사안은 2025년 7월 10일, 민주인권교육센터를 통해 최초 접수되었으며, 이후 민원 내용인 학교장의 진정성 있는 사과 요청에 따라 사안 조사가 진행되었다.
– 교육청은 신청인 및 피신청인 간의 입장을 바탕으로 조사를 진행하였고, 사과 이행 여부를 확인한 후 화해 조정 절차를 개시하였다.
– 조정 과정에서 민원인이 후속으로 취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안내도 함께 이루어졌다.
② “교장과만 소통하고 학생과는 소통이 없다”는 주장에 대한 입장
– 학생과의 소통은 담임교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의 정서적 회복을 위한 상담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 교육청은 상담 방법, 시기, 내용 등에 대해 담임교사와 협의후 진행키로 하였고, 서면 제출 요청에 담임교사는 이에 응하였다.
③ “공공기관의 책임 회피 및 피해자 침묵 강요” 지적에 대한 입장
– 2025년 7월 22일(화), 교사노조로부터 ‘A초등학교 교장에 대한 엄중처리’ 요청 공문을 접수한 후, 교육청은 국·과장 대책 회의를 즉시 개최하였고,
– 7월 23일(수) 오전, 교육청 관계자들이 현장 방문을 통해 교장, 교감 등과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담임교사 및 동학년 교사와는 현장면담이 진행되지 않았으나 향후 소통할 계획이다.
– 교육청은 해당 교장이 학부모 민원 유발 및 조직 내 리더십 등 경영능력 결함을 초래한 점을 중대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학교장 경영 능력 평가를 통해 향후 조치를 검토 중이다.
– 교사에게는 법률 자문과 정서 상담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지원할 계획이며, 학생에게는 개별 및 집단 상담과 공동체 회복을 위한 심리 정서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다.
광주광역시교육청은 “이번 사안은 단순한 민원 처리를 넘어, 학교 구성원 모두가 신뢰와 존중 속에서 교육 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 계기로 삼고 있다.”며 “앞으로도 유사 사례 가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공동체의 회복적 교육과 관계 중심의 대응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