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기획특집  / 수능 절대평가 도입 신경전 ‘팽팽’···학교·학부모 “일부과목만” vs 시민단체 “전과목”

수능 절대평가 도입 신경전 ‘팽팽’···학교·학부모 “일부과목만” vs 시민단체 “전과목”

 

올해 중학교 3학년이 치르는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개편 시안을 두고 11일 처음 열린 공청회에선 일부 과목만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안에 무게가 실렸다.

 

 교육부는 이날 오후 서울교대 종합문화관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21학년도 수능 개편 시안 공청회’를 열고 학생과 학부모, 학교 등 현장의 의견을 수렴했다. 시안 발표 후 처음 열리는 공청회다.

 

 전날 교육부는 2021학년도 수능 개편 시안으로 2개 안을 제시했다. 1안은 수능 절대평가 과목을 현행 2개 과목(영어, 한국사)에 2개 과목(통합사회·통합과학, 제2외국어·한문)을 추가해 4개 과목으로 확대하는 방안이다. 2안은 전체 7과목(국어, 영어, 수학, 한국사, 통합사회·통합과학, 사회·과학·직업탐구, 제2외국어·한문)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안이다.

 

 공청회장에선 일부 과목만 절대평가로 전환하자는 1안에 대한 찬성의 목소리가 높았다. 교육 시민단체를 제외한 고등학교, 대학교, 학부모 대표 토론자들은 수능 전 과목 절대평가 전환을 반대하거나 우려했다.

 

 학교현장에선 절대평가 전환으로 ‘합리적인 학생 선발 도구 상실’, ‘공정선발 한계 및 정시전형 무력화’ 등을 걱정했다.

 

 송현섭 도봉고등학교 교감은 “수시전형의 비율이 74%, 정시전형의 비율이 26%인 현 시점에서 보면 수능은 학생선발도구로서의 기능과 수명을 다했다고 보는 것이 과언이 아니다”라면서도 “문제는 수능을 대체할 합리적인 평가도구가 없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등급간 변별력, 과목간 난이도 차이 등의 문제로 수능에 유리한 졸업생 14만여명, 특목고, 자사고 재학생 등의 반발은 물론 수능을 대신할 새로운 형태의 선발도구 요구의 목소리가 높아질 것이란 의견이다.

 

 송 교감은 “전 과목 절대평가안보다는 1안인 일부 과목 절대평가안에 찬성한다”며 “대학의 선발방법 혼란 방지와 대입의 안정성 확보 측면에서 현행처럼 국어와 수학, 탐구영역은 상대평가로 가되 점차적으로 국어, 수학 나형, 사회탐구 순으로 절대평가로 전환함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수학 가형과 과학탐구 등은 등급 간 차이보다 등급 내 점수 차이가 더 중요해 상대평가를 유지해야 한다는 게 송 교감의 생각이다.

 

 안성진 성균관대 컴퓨터학과 교수는 전 과목 절대평가안에 대해 “수능 전 과목 절대평가를 시행하는 경우 동점자의 규모가 급격하게 커져서 대학의 공정선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모든 과목에서 1등급을 받는 학생의 수가 어림잡아 5000~1만5000여명으로 예측하는데 이들 학생이 일부대학의 특정학과로 몰리는 현상이 발생하면 수능으론 선발이 불가능하다”고 했다.

 

 이 같은 우려를 포함해 안 교수는 ▲평생 가는 고교성적으로 인한 기회 박탈 ▲교사의 진학지도 한계 ▲중학교 사교육 활성화 우려 ▲전반적인 사교육 우려 등 5가지 문제점을 제시했다.

 

 그는 사교육 문제와 관련해 “수능에 대한 사교육이 줄지도 않을 것”이라며 “특정점수만 상회한다면 1등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등급을 받기 위해서 사교육시장이 형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학부모 대표로 참석한 김선희 좋은학교바른교육학부모회 회장은 수능 절대평가 전환 시 학생부종합전형 확대로 인한 부작용을 걱정했다.

 

 김 회장은 “전적으로 교사와 학교에 의해서 기록되는 학생부를 토대로 대학입시를 치러야 한다는 것에 다수의 학부모들은 동의가 어렵다”며 “선명하지 못한 수시보다 그나마 정시가 학생들에게 더 공정하고 더 교육적인 제도라고 많은 학부모들은 말하고 있다”고 전했다.

 

 고교 내 성취평가제 도입으로 내신 성적까지 절대평가로 전환될 경우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김 회장은 “교과교육이 사실상 느슨해지면서 학생들의 전체적인 성취수준이 떨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점, 학교생활기록부가 주요한 평가 요소가 된다면 자연스레 기록부를 기록하는 학교, 교사들 간의 격차가 두드러질 것이라는 점” 등에 대해 문제 제기를 했다.

 

 반면 교육 시민단체는 수능 상대평가의 폐해를 지적하며 전 과목 절대평가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냈다. 객관식 시험인 수능으로는 창의성 등을 평가하기 어려운데다, 비교집단 내 비교가 주목적인 상대평가의 특성상 학생 간 경쟁만 부추긴다는 것이다.

 

 일부 과목만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1안에 대해 이찬승 교육을바꾸는사람들 대표는 “1안은 소위 풍선효과로 인한 폐해가 매우 커서 반대한다”며 “가령 수학의 경우 지금도 과도한 수준으로 학습하게 하는데 1안은 수학의 비중을 더욱 높일 것”이라고 반대했다.

 

 그는 조건부 전 과목 절대평가 전환을 내걸면서 ▲고교 내신평가의 절대평가 전환 ▲교과서 편제에 따른 수능체제 고려 ▲고교체제 개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평가 반영 등을 요구했다.

 

 이번 개편 시안에서 다루게 될 수능과 EBS 연계 문제에 대해선 다양한 목소리가 나왔다. 교육 시민단체와 고등학교 대표자들은 연계율 축소·폐지를 주장했다. 이에 반해 대학교와 학부모 대표자들은 연계율을 유지하되 연계방식 개선을 통한 수험생의 혼란 감소를 제안했다.

 

 이날 공청회장에는 교육 시민단체 회원 등이 수능 절대평가 전환 찬성·반대 내용이 담긴 손팻말을 들고 참석해 의견을 개진했다.

 

 

Review overview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