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기획특집  / “대학이 살아야” 광주시, 교육청·대학과 ‘의기투합’

“대학이 살아야” 광주시, 교육청·대학과 ‘의기투합’

학령인구 감소로 주요 대학에서마저 정원 미달이 현실화된 가운데 “대학이 살아야 지역이 산다”며 광주시가 교육청, 대학과 함께 위기의 지역대학 살리기에 의기투합하고 나섰다.

‘교육’이라는 고유의 울타리를 지방행정의 핵심 현안으로 끌어 안은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단, 교육과 일반행정을 분리하는 ‘교행(敎行) 분리 원칙’을 깨고 이를 한데 버무리는 시도여서 섬세하고 체계적인 로드맵과 하모니, 궁극적 과제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공·사기업의 적극적 참여 등은 풀어야 할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22일 기자들과의 차담회를 통해 “광주시가 교육청, 대학과 함께 대학 위기 극복에 발벗고 나서기로 했고, 이를 위해 광주시에 ‘대학발전협력단’을 신설키로 했다”고 밝혔다.

협력단은 광주시 공무원과 교육청, 대학 등으로부터 인력을 파견받아 구성될 예정이며, 이르면 다음주 중으로 업무협약(MOU)을 체결할 계획이다.

교육 문제에 광역자치단체가 직접 나선 것은 현재의 위기가 매우 심각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지역 인재의 역외유출이 심각한 가운데 학령인구 감소로 신입생 미달사태까지 속출하면서 급기야 폐교하는 대학이 늘고, 남쪽 지방부터 소위 ‘벚꽃 피는 순서대로 2, 3년 내 70여 대학이 문을 닫을 것’이라는 ‘벚꽃 엔딩’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데 따른 공동대응으로 풀이된다.

실제 올해 신입생 최종 등록률은 전남대 96.67%, 조선대 97.1%, 호남대 90.0%, 광주대 90.4%, 동신대 92.3%로 정원 미달이 현실화됐다.

위기의식에서 한 발짝 나아가 미국 스탠포드대학이 실리콘밸리를 견인했고, 영국 등지에서 지역대학이 지역의 경제와 문화를 이끌고 있는 점, 지역대학 발전을 더 이상 중앙정부 정책에만 의존할 수 없다는 시대정신과 비전도 전담조직 구성의 동인이 됐다.

그러나 풀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단위학교에서부터 교육과 행정을 분리하는 ‘교행 분리 원칙’이 유지되는 가운데 광의적 범위에서 교행 협치를 시도한다는 점에서 교수·교사 등 교육전문가와 교육행정가, 일반행정가들간의 이질적 문화를 잡음 없이 섬세한 콜라보로 엮어내는 작업이 우선 필요하다.

수직적이 아닌 수평적 관계가 필요하고, 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한 충분한 논의와 소통이 전제돼야 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지역대학의 위기는 학령인구 감소, 인구 감소는 다시 저출산이 근본적 원인이라는 점에서 광주지역의 심각한 저출산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 지도 본질적 과제다. 광주지역 인구는 사망자수가 출생아수를 초과하는 ‘데드 크로스’가 이미 현실화됐고, 여성 1명이 평생동안 낳을 수 있는 평균 자녀수인 합계출산율도 0.81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출산과 함께 대학위기를 극복할 또 다른 출구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역 내 기업들과의 협업도 절실한 상황이다. 대학발전협의체에는 일단 기업의 참여가 빠져 있는 상황이다.

협력단의 역할과 성격이 다소 추상적이고, 단장 직급 등 콘트롤타워에 대한 윤곽도 밑그림 단계에 그치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각 대학과 교육청, 시청이 파편적으로 운영하던 관련 사업을 하나로 모아 패키지 행정을 통해 지역 대학의 위기를 넘어서고, 각 대학별로 특장점을 극대화하는 지렛대이자 작은 씨앗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지역 대학은 4년제 11개, 전문대 7개 등 모두 18개에 이르며, 학생수는 지난해 4월 현재 8만453명에 이른다. 

 

Review overview
NO COMMENTS

POST A COMMENT